에어부산이 상당히 곤혹을 치르고 있는 모양새다.

 

최근 코로나-19로 항공과 관광업계가 큰 타격을 받은 것만 해도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직원들은 무급휴가 (80%가 휴직 상태)에 들어가기까지 했으니 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다.

 

여기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에어부산이 라임 펀드에 200억 규모의 투자를 해서 171억 원이 평가 손실로 잡혀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라인 자산운용의 펀드에 에어부산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심각한 점은 이 피해가 고스란히 일반 주주로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에어부산이 투자를 하고 나서 석 달 후에 환매가 중단되어 최대 50%의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투자금의 규모는 2018년 한 해의 당기순이익과 맞먹는 수준이다.

기업은 원래 투자를 하곤 하지만, 이 투자의 경우 영업과 관련도 없고 고위험 사모 펀드에 투자한 점이 논란이 되는 부분이다.

 

피해자는 누구인가?

 

단독기사를 보고 충격을 금치 못했다.

이 피해자는 누구인가? 그리고 에어부산 스스로 투자 피해자라고 할 수 있는가?

가장 큰 피해자는 일반 투자자라고 할 수 있다.

회사의 가치와 성장 가능성을 믿고 보유한 돈을 회사에 투자했는데, 정작 회사는 그 믿음을 뒤로한 채 고위험 사모 펀드에 투자를 한 것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현재 코로나 19로 언제 여행이 재개가 될지 불투명하다.

이렇게 수입이 없는 상황에서 피해가 일어났으니 그 뒷감당은 모두 일반 투자자가 해야 하는 것이다.

 

더욱이 지금 휴직에 들어가 있는 직원들의 한숨과 걱정거리도 늘었을 것이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여러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는 것 같다.

주식시장에서 최대 악재 키워드 "세 가지" 

 

1.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환자수 증가

2. 세계 경기 침체 (코로나로 인한 관광수입 폭락과 내수경제 침체)

3. 유가 폭락 (러시아 vs 사우디 vs 미국)으로 인한 경기침체와 주가 폭락 + 기업의 줄도산 우려

(물론 10년 전부터 나오던 도이치은행 리스크나 미국의 항공업계 파산 등의 수많은 악재도 포함되어 있다)

 

최근에 하락 추세가 꺾일만한 신호는 통화스와프를 제외하고는 없었고 그 이후는 불투명하다.

코로나에 대한 현재 상황을 정리해 두고자 한다 (미국 한정).

 

1) 미국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코로나 확진'

 

변동성이 사상 최대로 치솟고 있는 만큼 미국의 코로나 사태는 모든 사람들이 예의 주시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아무래도 금요일에 반등했던 주가가 유지되는 데는 안 좋은 소식이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백악관 발표에서 치료제에 대한 언급이 많았던 만큼 파장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3월 22일 일요일 오전 10시 15분경 뉴스 추가
미국 펜스 부통령은 음성결과

2) 중국의 코로나 바이러스 사망자수에 대한 반박과 추측할 수 있는 지표

중국 증시의 경우는 한국의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와 매우 밀접하며, 통상적으로는 비례하게 간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코로나의 확진세가 꺾이고 안정세를 찾아간다고 말하고 있지만, 신뢰가 가지 않는다.

 

최근에 중국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증가 추세가 감소했고, 사망자에 대한 통계도 보이는 것보다는 상당히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언뜻 기사만 보면 그럴듯해 보이기도 하지만 이는 믿을 수 없다는 게 다수의 의견일 듯싶다.

 

그 와중에 아주 신박한 근거 글이 등장했다.

 

핸드폰 해지 숫자가 폭등했다?

 

 

 

중국의 경우에는 휴대폰 이용을 2개월간 미납하면 해지가 되는데, 1,400만 명이 해지가 되었다.

지금 중국에서는 확진자 수는 3만 1161명, 사망자수는 636명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맞지 않는 숫자이다.

자연사의 경우를 따져만 봐도 이는 매우 높은 수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중국의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 종식되었다는 것은 거짓임을 추측해 볼 수 있는 글이라고 볼 수 있다.

 

+ Recent posts